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Aether in Bloom

2025. 05. 13 ~ 2025. 05. 31.

오명희

Oh Myung Hee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00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30cm, pieces of wood, pure gold leaf, hemp cloth, soil powder, mother of pearl, lacquer, acrylic,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30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83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55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crystal,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94 x 130cm, pure gold leaf on canvas,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94 x 130cm, pure gold leaf on canvas,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16.8 x 91cm, pure gold leaf on canvas, color leaf,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16.8 x 91cm, pure gold leaf on canvas, color leaf,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00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30cm, pieces of wood, pure gold leaf, hemp cloth, soil powder, mother of pearl, lacquer, acrylic,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30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183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에테르 Aether, D55cm, soil powder, hemp cloth, lacquer, pure gold leaf, mother of pearl, crystal,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94 x 130cm, pure gold leaf on canvas,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94 x 130cm, pure gold leaf on canvas,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16.8 x 91cm, pure gold leaf on canvas, color leaf,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 피어나는 빛, 봄의 숨결

    Zenith, 116.8 x 91cm, pure gold leaf on canvas, color leaf, mother of pearl, acrylic, 2025

  • KR
  • EN

About Exhibition

봄날의 에테르

 

도화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존재의 기원을 향해

오명희의 작품은 보이지 않는 것을 담고 감싸며, 존재하는 것들의 배경이 되는 ‘빛의 매질’과 닮았다. 전통적인 자연관과 소소한 일상에서 묻어나는 생활감정을 바탕으로 하지만, 전통 옻칠과 자개를 어우르며 재현한 서정성으로 친근하면서 신비한 풍경을 자아낸다. 서로 다른 요소의 조합, 과거와 현재를 순간의 감각으로 불러오는 작업 과정은 깊고 조용한 봄날의 생명력을 되살리고, 찰나의 아름다움과 마주해 마음의 움직임을 멈추게 한다.

자개가 지닌 부드럽고 섬세한 디테일이 집약된 작품 속에는 일상의 사물과 풍경, 자신만의 감정이 은유적으로 병치 되고 재구성된다. 이는 한 땀 한 땀 정성스레 수놓은 내면의 기억을 다시 살려 현재와 만나게 하는 노력이자, 시적인 함의와 내밀한 환상의 세계를 공존시키려는 작가만의 독특한 작업 방식이다.

 

내 그림은 별빛처럼 잠깐 반짝이지만, 우주의 시간으로 가득 차 있다. 고요한 블랙홀, 눈부신 은하계, 그 사이의 무한한 공간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파헤치는 여정이다. 이 작품들은 광활한 우주 속에서 우리가 느끼는 고독과 경외감, 그리고 그 모든 것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희망의 파편을 담고 있다. (작가 노트)

 

침묵과 고요를 넘어

작가는 흑백 사진과 과거의 기록, 일화적인 기억을 주로 서사적 형상으로 표현해 왔다. 이후 화면은 해체적이고 암시적으로 진화하며, 침묵 속에서 서려 있는 소리와 움직임을 끌어내고 있다. 기법 자체는 공작적이지만, 전작과 달리 화면 속 여백이 많아지고 그 여백 안에는 마치 무의식의 심연과도 같은 짙은 어둠이 들어앉는다. 이는 서사적 형상이 새롭게 구성되는 역동적인 과정인 동시에 자기 내면에 더욱 집중하여 서사적인 추상을 강화하는 모습과 같다. 

분방한 붓질과 손길로 기의 흐름과 마음속에 이는 바람의 결을, 그리고 응축된 크고 작은 응어리와 비정형의 얼룩들로 존재의 본질을 풀어내고 있다. 나아가 자유로이 흐르고 한바탕 바람이 휘몰아친 뒤에 찾아오는 정적과 닮은 절제된 화면은 보이지 않는 세상과 존재를 감싸안는 작가의 가장 순수한 몸짓이기도 하다.

크고 작은 비정형의 자개 조각들, 흩뿌려진 옻칠로 가득한 화면 앞에 서면, 중심에서 퍼져 나오는 에너지로 빨려 들어갈 것만 같다. 마치 밤하늘에 수 놓인 별 무리를 보는 것 같고, 끝을 헤아릴 수 없는 우주 속을 떠도는 느낌도 들고, 그 바닥을 알 수 없는 심연을 들여다보는 듯하다. 여기에 둥근 형태를 평면으로 펼치면 흡사 수면에서 아롱거리는 빛의 윤슬을 보는 것도 같다. 

 

‘하늘을, 야생화 핀 들판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스카프는 여러 굴레와 어떤 편견으로부터 속박되지 않은 나의 본모습이고 자화상’이라고 언급했듯 자연 속에서 한없이 자유로운 작가의 위치는 어느새 우주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망망대해 대우주에 떠 있는 한 조각 섬이 작가 자신이며, 소우주와 같은 위상을 가진다. 내가, 세계가, 모든 존재가 우주로 합일하고 서로 연결되는 근원의 형상이자 이상적인 형태인 ‘원’으로 상징된다.

조형 요소로 도입한 원형적 형상은 순수한 물질들로 가득 차 우주의 에너지가 넘쳐나며, 존재의 근원을 캐묻고 있다. 아마도 작가는 이러한 상징과 의미에 기대어 자기 내면에 일종의 안식처를 짓고 싶었고, 우리로 하여금 우주와의 새로운 관계 설정과 존재를 거듭 확인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내가 표현하고 있는 달, 우주, 돌 등은 전작의 스카프와 같이 나의 모습이다. 나를 드러내는 동시에 나의 소망과 기원을 담았다. (작가 노트)

 

옻칠을 수도 없이 흩뿌리면서 화면에 크고 작은 비정형의 얼룩들을 누적한다. 감각이 이끄는 대로, 몸이 부르는 대로 그리는 일은 자기를 지우는 동시에 되찾는 과정이다. 혼합재료로 제작된 레이어가 많은 화면에는 열기도 느껴진다. 리듬감이 분방한 색채감정을 자아내는 작품들은 삶의 질감을 더듬고 자기 자신의 원형을 찾아가는 행위이다. 그래서 작가에게 ‘나’는 작품의 출발점이 아니라 작업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곳에 존재한다. 수행해 온 궤적이며, 돌탑을 쌓을 때의 심정마저 느껴진다. 닿아야 할 곳을 향해 직진하기보다는 다소 맹목적인 방식으로 더듬더듬 나아간다. 

 

색은 숨을 쉬고, 빛은 익어간다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가 옻과 자개를 사용한 계기는 70~80년대 가정에 하나쯤은 있었던 자개장 같은 일상 문화에 대한 추억에 있었다. 안방에 놓인 어머니의 장식함에서 본 자개의 은근한 빛, 옻칠의 오묘한 색감, 화조도나 십장생의 전통 장식은 모두가 꿈꾸는 것을 담고있다. 

 

옻은 재료의 물성을 중시하는 작가의 성향과 잘 어울려 장인정신과 창발성을 함께 보여준다. 층층이 쌓아 올리며 밑바탕의 물질과 무의식이 용출하는 듯, 심미적 요구와 의미에 대한 욕망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옻칠은 처음 사용할 때는 채도가 떨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색이 밝아져 본래의 색을 찾아가는 성질을 지녔다. 바탕 면과 밀착하여 살아있는 생명처럼 수년에 걸쳐 색은 숨을 쉬고 변화를 거듭하며 익어간다. 은은하게 발색하여 정점에 이르면 화학 안료로 만들어낼 수 없는 깊이와 환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자연만이 만들어내는 견고한 색과 빛으로 인해 작가는 까다로운 옻칠에 매료되었다. 

 

색이 숙성되어 본래의 자기 색을 찾아가는 과정이, 세월이 흐르면서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삶의 여정을 떠올리게 한다. 얼룩과 흔적에는 무수한 시간과 노동이 깃들어 있고, 때론 바닥을 향해 치닫는 깊이에의 갈망이 어지럽게 선회한다. 작가가 지나간 자리, 그곳에서 작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있다. 

 

 

작가 오명희는 특정한 형식을 의식하지 않고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고 있다. 전통 나전칠기와 자개를 회화에 응용하며 전통과 현대, 공예와 순수미술의 경계와 고루한 구분을 ‘경쾌하게’ 가로지르고 있다. 회화의 평면성을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엄청난 환영을 불러일으키고, 전통 재료인 옻칠과 자개, 금박의 조합으로 풍부한 회화성을 선보이고 있다. 시간성이 깃들고 인간적 체취를 지닌 깊은 화면, 그 안에 응축된 무수한 시간과 공력, 이야기들로 작가는, 그리고 그 화면에 마주 선 우리는 ‘봄날의 감각’을 다시금 일깨운다.

 

Aether In Bloom

 

Dohwa Jin (Curator,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oward the Origin of Existence

Oh Myunghee’s work embraces and envelops the invisible, resembling the medium of light that forms the backdrop for all that exists. Rooted in traditional views of nature and the emotional nuances of everyday life, her paintings blend traditional lacquer (ottchil) and mother-of-pearl (najeon) to evoke lyrical, mysterious scenes that are at once familiar and enchanting. The process of combining disparate elements and summoning the past and present through the sensations of a moment revives the quiet vitality of a spring day and arrests the heart with the beauty of the ephemeral.

In her work, the delicate and soft detail of mother-of-pearl crystallizes into metaphorical juxtapositions and reconstructions of everyday objects, landscapes, and personal emotions. This approach is her own unique method—an effort to reawaken carefully embroidered inner memories and let them meet the present, bringing together poetic implication and the intimate world of fantasy.

“My paintings sparkle briefly like starlight, but they are filled with cosmic time. It is a journey to uncover the stories hidden in the infinite space between the silent black hole and the dazzling galaxy.”

(Artist's note)

 

Beyond Silence and Stillness

Previously, the artist often expressed memories, archival images, and anecdotal records through narrative figuration. Her recent work has evolved into increasingly deconstructive and suggestive compositions, drawing out the hidden sounds and movements that linger in silence. Though the technique remains elaborate and intricate, her recent canvases incorporate more empty space, within which a deep darkness—like the abyss of the unconscious—settles. This is both a dynamic process of reconfiguring narrative figuration and a deepening focus on the inner self, intensifying the narrative abstraction.

Through spontaneous brushstrokes and gestures, she conveys the flow of energy (gi) and the patterns of emotional winds, while the layered blots and amorphous marks reveal the essence of existence. The restrained composition—reminiscent of the quiet that follows a wild storm—represents her purest gesture of embracing the unseen world and the beings within it.

Standing before her screens filled with mother-of-pearl fragments and splattered lacquer, one feels drawn in by the energy radiating from the center. It is like gazing at constellations scattered across a night sky, floating through a vast cosmos, or peering into an unfathomable abyss. When circular forms are spread flat, they resemble the shimmering ripples of light on a water’s surface.

“The scarf flying freely across the sky and flower-filled fields is my true self and self-portrait, unbound by constraints or prejudice,” she once said.

Her identity, once rooted in nature, now expands into a cosmic dimension. In this boundless universe, the artist sees herself as a lone island drifting in the sea of space—a microcosm with its own stature. She, the world, and all beings converge into the universe, unified and interconnected through the symbolic and ideal shape of the circle.

The circular forms she incorporates are filled with pure materials and overflowing with cosmic energy, exploring the origin of existence. Perhaps she seeks to build a sanctuary within herself through these symbols and meanings, while also inviting us to redefine our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e and reaffirm our sense of being.

“The moon, the cosmos, and the stones I depict are, like the scarves from earlier works, representations of myself. They both reveal who I am and hold my hopes and wishes.”

(Artist’s note)

 

Colors Breathe, Light Ripens

Through countless splatters of lacquer, the artist accumulates amorphous forms both large and small. The act of painting, led by instinct and embodied sensation, is simultaneously a process of erasing and rediscovering the self. The layered surfaces created with mixed media radiate a kind of heat. Her works evoke rhythmic emotional tones through their vibrant colors, retracing the texture of life and seeking her primal form. For the artist, the “self” is not a point of departure, but a destination to be reached through the act of creation—a trace of the journey, imbued with the same spirit as stacking stones in quiet devotion. Instead of heading straight for a goal, she proceeds haltingly, almost blindly, guided by something deep within.

Oh, who majored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turned to lacquer and mother-of-pearl out of nostalgia for the everyday cultural objects of the 1970s and ’80s—like the mother-of-pearl wardrobes that stood in many households. The subtle glow of the mother-of-pearl and the mysterious hues of lacquer seen in her mother’s vanity case, along with traditional decorative motifs like flowers and birds 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ll embodied a shared sense of dreams and longing.

Lacquer, with its emphasis on material properties, resonates with the artist’s sensibility, balancing craftsmanship with creative spontaneity. As layer upon layer is built up, it seems that the underlying matter and the unconscious rise to the surface, satisfying both aesthetic desire and the yearning for meaning. Lacquer begins with subdued tones, but over time, it gradually lightens and ripens into its true color. Adhering to the surface like a living organism, it breathes and transforms over the years. When fully matured, it emits a radiance and depth that synthetic pigments cannot replicate. Enchanted by these natural colors and lights, Oh found herself captivated by the demanding nature of lacquer.

This transformation—of color maturing and returning to its true self—mirrors the life journey of finding one’s genuine identity over time. Each blot and trace carries the weight of time and labor, at times circling in a dizzying yearning for depth. These works bear witness to the artist’s path, proving her presence in the world.

Oh Myunghee does not adhere to predetermined forms but invents new ones. She playfully transcends the boundaries and convention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craft and fine art, by incorporating traditional najeonchilgi and mother-of-pearl into her paintings. Her works provoke immense illusion while maintaining the flatness of painting, offering rich painterly expres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like lacquer, mother-of-pearl, and gold leaf. Laden with temporality and the human touch, her dense surfaces—imbued with time, labor, and countless stories—awaken in us, as we stand before them, the vivid sensation of a spring day once more.

 

Artist CV

오명희

2021-현재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세종대학교 및 동 대학원 회화과 졸업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개인전

2025 이화익갤러리, 서울

2024 베이트 뮤즈나 갤러리, 무스카트, 오만 

           케냐 나이로비 국립 뮤지엄(Dance to the Rythm of my Soul), 나이로비, 케냐

2022 베니스 비엔날레 ECC(European Culture Center), 

           Palazzo Mora, 베니스, 이탈리아

2021 프린트베이커리 초대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20 ACAF 2020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운영위원 특별전,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7 사치 갤러리, 런던, 영국

2013 카제(風)갤러리, 오사카, 일본

2012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아오키(靑木)화랑, 동경, 일본

           장은선 갤러리, 서울

2010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08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7 新生堂 기획 초대전, 동경, 일본

2000 박영덕화랑, 서울

1999 아까네화랑, 동경, 일본

1998 사이토화랑, 삿포로, 일본

           박영덕화랑, 서울

1995 Espace Miromesni, 파리, 프랑스 

 

단체전

2024 “미래는 여성이다”, The Garrison Chapel, 런던, 영국

           아부다비아트, 이화익갤러리,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3 소더비 인스티튜트 코리아 회원전 (SIAA KOREA MEMBER’S EXHIBITION), 에스아트스페이스, 서울

2022 제 9회 중국 베이징 국제미술 비엔날레 BIAB, 북경, 중국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유러피안컬처센터 (ECC) 초대전, 베니스, 이탈리아

           한중예술교류전 “치유,극복,상생–서울&쓰촨의 예술로 이루다”, 쓰촨, 중국

           여권통문의 날 기념전, 토포하우스, 서울

2019 타이페이 당다이 아트페어, 학고재 갤러리, 타이페이, 대만

2018 풍경에서 명상으로, 뮤지엄 산, 원주 

           KIAF, 학고재갤러리, 코엑스, 서울 

2016 마이애미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마이애미, 미국

2015 현대 화조화 모색전, (사)한국미술사연구소 주최, 갤러리한옥, 서울 

           KIAF,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Flower Object, 갤러리 호감, 서울

           사유로써의 형식-드로잉의 재발견, 뮤지엄 산, 원주 

           홍콩 어포더블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홍콩 컨벤션 센터, 홍콩

           KIAF,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2014 세텍 서울 아트쇼, 서울

           AHAF 2014 홍콩 아트페어, 금산갤러리, 홍콩

2013 KIAF, 박영덕 화랑, 코엑스, 서울

           LA아트페어, LA컨벤션센터, 미국

2012 스푼아트페어 포스터작가 특별전, 금산갤러리, 홍콩

           뉴칼레도니아 아트페어, 금산갤러리, 뉴 칼레도니아

           LA아트페어, LA컨벤션센터, 미국

2011 LA아트페어, LA컨벤션센터, 미국

2010 LA아트페어, LA컨벤션센터, 미국

2009 LA아트페어, LA컨벤션센터, 미국

2008 시카고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시카고 미국

2007 SHINPA展, 오브세 미술관, 일본

           시드니 아트페어, 시드니, 호주

2005 오사카 아트페어, 오사카, 일본 

           북경 아트페어, 북경, 중국

           상해 아트페어, 상해, 중국

2004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샌프란시스코 미국

2002 일본국제현대아트페어, 박영덕화랑, 도쿄포럼, 동경, 일본

2001 일본국제현대아트페어, 박영덕화랑, 도쿄포럼, 동경, 일본

1999 5월 미술축제, 박영덕화랑, 서울

1998 화랑의 얼굴, 박영덕화랑, 서울

           5월 미술축제, 박영덕 화랑, 서울

           대중과 미술의 만남, 박여숙화랑, 서울 

           화랑미술제, 서울

           MANIF, 예술의 전당, 서울

           TRITON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샌프란시스코, 미국

1997 판화미술제, 박영덕화랑, 서울

           화랑미술제, 박영덕화랑, 서울

           17회 르네아트페어 후트라 화랑, Grand-Belgium, 벨기에

           일본국제현대아트페어, 파리 후투라화랑, 도쿄포럼, 동경, 일본

1995 15회 르네아트페어 후트라 화랑, Grand-Belgium, 벨기에 

           로마아트페어 St Charles de Rose, 로마, 이탈리아 

 

수상

2014 대한민국 미술인상 정예작가상

2008 한국미술 작가 대상

 

경력

일본 동경 예술대학 객원 교수 역임

서울 미술협회 부 이사장 역임

한국 미술협회 기획 이사 역임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운영위원 역임

서울시 미술 장식품 심사위원 3회 역임

마포구 미술 장식품 심사위원 역임

Oh Myung Hee 

Honorary professor of College of Art & Design, The University of Suwon

M.F.A in Department of Painting,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B.F.A in Department of Painting, College of Art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Seoul Arts High School

 

Solo Exhibition  

2025 LEEHWAIK GALLERY, Seoul, Korea

2024 Bait Muzna Gallery, Muscat, Oman

           Dance to the Rythm of my Soul, Nairobi National Museum, Nairobi, Kenya

2022 La Biennale di Venezia ECC(European Culture Center), Palazzo Mora, Venezia, Italy

2021 Insa Art Center, Seoul, Korea

2020 ACAF 2020 The 11th A&C Art Festival, Hangaram Art Museum,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2017 Saatchi Gallery, London, UK

2013 KAZE Gallery, Osaka, Japan

2012 Chosun Ilbo Museum, Seoul, Korea

           Aoki Gallery, Tokyo, Japan

           Jang Eun Sun Gallery, Seoul, Korea

2010 Chosun Ilbo Museum, Seoul, Korea

2008 Insa Art Center, Seoul, Korea

2007 SHINSEIDO GALLERY, Tokyo, Japan

2000 Galerie BHAK, Seoul, Korea

1999 Akane Gallery, Tokyo, Japan

1998 Saito Gallery, Sapporo, Japan

            Galerie BHAK, Seoul, Korea

1995 Espace Miromesni, Paris, France 

 

Group Exhibition

2024 THE FUTURE IS FEMALE, The Garrison Chapel, London, UK

           Abu Dhabi Art, LEEHWAIK GALLERY, Abu Dhabi, UAE

2023 SIAA KOREA MEMBER’S EXHIBITION, S ART SPACE, Seoul, Korea

2022 The 9th Beijing International Art Biennale, Beijing, China

2021 Biennale Architettura, European Culture Center, Venezia, Italy

           Korea-China Art Exchange Healing, Overcoming, Sustainability achieved with the arts from Seoul and Sichuan,

           Sichuan, China

          The Declaration of Rights of Women, TOPOHAUS, Seoul, Korea

2019 Taipei Dangdai Art Fair, Hakgojae Gallery, Taipei, Taiwan

2018 Meditation in a lanscape, MUSEUM SAN, Wonju, Korea

           KIAF, Hakgojae Gallery, COEX, Seoul, Korea 

2016 Art Miami, Galerie BHAK, Miami, USA

2015 Modern Flower & Bird Exhibition, Gallery Hanok, Seoul, Korea 

           KIAF,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Flower Object, Gallery Hogam, Seoul, Korea

           A Form of Thinking - Rediscovery of Drawing, Cheongjo Gallery, MUSEUM SAN, Wonju, Korea 

           Affordable Art Fair, Galerie BHAK, Hong Kong Convention Center, Hong Kong

          KIAF,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2014 SETEC Seoul Art Show, SETEC, Seoul, Korea

           Asia Hotel Art Fair, Keumsan Gallery, Hong Kong

2013 KIAF,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LA Art Fair,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12 Spoon Art Fair Special Exhibition, Keumsan Gallery, Hong Kong

           New Caledonia Art Fair, Keumsan Gallery, New Caledonia

           LA Art Fair,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11 LA Art Fair,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10 LA Art Fair,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09 LA Art Fair, LA Convention Center, LA, USA

2008 Chicago Art Fair, Galerie BHAK, Chicago, USA

2007 SHINPA, Ovse Museum, Tokyo, Japan

           Sydney Art Fair, Sydney, Australia

2005 OSAKA Art Fair, Osaka, Japan 

           Beijing Art Fair, Beijing, China

           Shanghai Art Fair, Shanhai, China

2004 San Francisco Art Fair, Galerie BHAK, San Francisco, USA

2002 Nippo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Galerie BHAK, Tokyo Forum, Tokyo, Japan

1999 May Art Festival, Galerie BHAK, Seoul, Korea

1998 Face of Gallery, Galerie BHAK, Seoul, Korea

           May Art Festival, Galerie BHAK, Seoul, Korea

           The public meets Art,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GALLERIES ART FAIR, Seoul, Korea

           MANIF,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TRITON Art Fair, Galerie BHAK, San Francisco, USA 

1997 Seoul Print Festival, Galerie BHAK, Seoul, Korea

           GALLERIES ART FAIR, Galerie BHAK, Seoul, Korea

           The 17th Line Art Fair, Grand-Belgium, Belgium

           Nippo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Galerie Futra, Tokyo Forum, Tokyo, Japan

1995 The 15th Line Art Fair, Grand-Belgium, Belgium, 

           Galerie Futra, Grand-Belgium, Belgium 

           Roma Art Fair, St Charles de Rose, Roma, Italy 

Awards

2014 Korea Artist’s Day-Elite Artist

2008 Korea Fine Arts Award

 

Career

Tokyo University of the Arts(TUA) researcher

Seoul Fine Arts Association-deputy chairman of the board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board members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judge&steering committee member

Judge of Public Artifacts in Seoul City

Judge of Public Artifacts in Mapo-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