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달재
HUH DAL JAE
2024. 08. 21 ~ 2024. 09. 13.
허달재
HUH DAL JAE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129.5×211.5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119×183.5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129×97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64×93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86.5×119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2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86.5×69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모란 Peony Blossoms, 65×119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허달재, 매화 Plum Blossoms, 204×291cm(각 204×145.5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1-2023
-
홍매 Red Plum Blossoms, 192×132cm,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2022
- KR
- EN
About Exhibition
사람이 살아가는 데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과 몸으로 行動(행동)하는 두 가지 기본 요소가 있다.
생각이 모아지면 意(뜻)이 되고, 그 뜻에 따라 行動(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개 뜻이 먼저 있고 그에 따라 行動(행동)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行爲(행위)와 意志(의지)에 의한 心身(심신)의 活動(활동)이 곧 삶이다.
뜻이 善(선)하면 果報(과보)도 善(선)하고 뜻이 惡(악)하면 果報(과보)도 惡(악)하기 마련일 것이다.
무엇이나 原因(원인) 없는 結果(결과)가 없고 結果(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原因(원인) 또한 없을 것이다.
이러한 因果律(인과율)은 당연한 우주의 질서이다. 그러므로 나는 善業(선업)으로 하여금 항상 마음에는 淸淨(청정)함을 간직
하고자 하며 나 자신 存在(존재)의 핵심에 깊이 도달하고 內在的 自覺(내재적 자각)인 순수 直觀(직관)에서의 끊임없는 積功
(적공)에서 表出(표출)하고자 한다.
人間(인간)이란 순간적 존재이기에 영원을 의구하며 現實(현실)보다는 內在的 寫意(내재적 사의)로 美(미)의 無限(무한)함을
순간적인 삶과 종합하고자 한다.
筆墨(필묵)을 빌어 無形(무형)을 밝히는 동시에 나 자신이 항상 表現(표현)하고자 했던 美(미)와 맛과 멋 등 가슴 속에 간직한
精神(정신)을 나타내고자 함이다.
茶(차) 한잔을 마시는 여유로움 속에서 淸淨(청정)한 마음으로 붓을 움직이고자 한다.
직헌(直軒) 허달재
이화익갤러리는 오는 8월 21일부터 9월 13일까지 허달재 작가의 개인전 <허달재 HUH DAL JAE> 전시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이화익갤러리에서 열리는 두 번째 허달재 개인전으로써 매화 작품을 중심으로 선보였던 지난 2022년 전시에 이어 이번 전시는 화왕(花王;꽃 중의 왕)이라고 불릴 만큼 크고 화려한 모란의 아름다움을 사의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매화 작품들과 함께 어우러져 전시될 예정이다.
이화익갤러리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아트페어에 지난 2021년부터 허달재 작가의 대형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3년째 출품한 모든 작품이 아부다비 왕족 컬렉션에 소장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직헌 허달재 작가는 1952년 전남 광주 출생으로 남종문인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1891-1977)의 손자이다. 허달재 작가는 5살 때부터 조부와 함께 생활하면서 허백련 선생님의 그림 그리는 모습을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며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었다.
허달재 작가는 전통 남종화를 계승한 거장 의재 허백련 선생님으로부터 배운 필선이나 묵색으로 작가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에 근본을 두고 있다. 사실적인 것을 추구하는 북종화와는 달리, 남종화는 상징적인 것을 표현하고 탐구한다. 허달재 작가에게 그림이란, 무엇인가를 표현하려고 의도적으로 생각하고 그리는 것이 아닌, 작가의 마음속에 많이 담아져 있으면 자기도 모르게 그려지게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작가가 보는 어떤 대상을 작가의 마음속으로 가져와서 그 대상에 대해 느끼고 생각하고, 다시 밖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허달재 작가는 늘 작가 주변에서 자주 보고 접하던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삼는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 차 밭 앞에 가득했던 매화나무, 산에 오르며 보았던 돌, 마당 한 귀퉁이에 피는 모란꽃, 집 앞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팝나무 등 눈으로 계속 보았던 사물들이 작가의 심상에 남아 울림을 갖고 그것이 다시 화폭 위에 표현된다. 허달재 작가의 작품은 형태의 유사성에 머무는 것이 아닌 모양을 버리고 그 정신을 취한다는 전통적인 동양화론의 정신을 담고 있는 것이다.
서양의 세계는 몸의 세계라고 본다면 동양의 세계는 정신적인 세계이다.
서양은 동중정(動中靜)이라면 동양은 정중동(靜中動)이다.
동(動)과 정(靜)이 잘 어우러져야한다.
시작과 끝이 같아야 하고, 강하고 약함이 있어야 하고, 굵고 가늚이 조화를 잘 이루었을 때
좋은 그림이 된다.
60년 예술 철학을 듣다- 직헌 허달재 인터뷰 中
전통 동양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했다는 평가에 허달재 작가는 현대적으로 변화하려는 목적을 갖고 변화한 것이 아닌 현대화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주변 환경, 사람들에 영향을 받으며 생각하고 느끼는 것들이 변화되어 드러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허달재 작가는 남종화의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대상을 단순화하고 추상화하거나 소재의 변화를 주는 등 끊임없는 새로운 시도를 해오고 있다. 손이 아닌 마음으로 그리는 허달재 작가의 작품은 전통적인 동양화의 아름다움 뿐 만아니라 현대적인 감각까지 느껴지는 다채로운 매력을 지니고 있다.
허달재 HUH DAL JAE
2024. 8. 21 - 9. 13
이화익갤러리 LEEHWAIK GALLERY
Artist CV
직헌(直軒) 허달재
1952 전라남도 광주 출생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의재 허백련 사사(師事)
주요 개인전
2024 허달재 초대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2022 허달재 초대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2021 허달재_가지 끝 흰 것 하나,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9 허달재 개인전 정중동 동중정(靜中動 動中靜), 표갤러리, 서울
2014 허달재 展-봄과 꽃, 그리고 차와 이야기 春梅茶話, 재희갤러리, 광주
2012 허달재 초대전, 무각사 로터스갤러리, 광주
2012 개인전 직헌 허달재, 한국투자증권 압구정PB센터, 서울
2011 개인전 심조화 화조심(心造畵 畵造心), 명동 롯데갤러리, 서울
2011 초대전 정중동 고중신(靜中動 古中新), 상해미술관, 상해, 중국
2011 초대전 정중동 고중신(靜中動 古中新), 북경화원미술관, 북경, 중국
2010 허달재 개인전, T.Art Center, 북경, 중국
2010 정중동(Moving in Calmness), 표갤러리 LA, 로스엔젤레스, 미국
2008 중국미술가협회 초대전, 북경 중국미술관, 북경, 중국
2008 북경심천(深圳)시 문화국 초대전, 심천화원 深圳畫院, 심천, 중국
2008 개인전, 박여숙화랑, 서울
2007 개인전, 박여숙화랑, 제주
2004 허달재 초대전, 서호미술관, 경기도
2003 허달재 초대전, 나인갤러리, 광주
2002 허달재 초대전, Broom Street Gallery, 뉴욕, 미국
1996 허달재 초대전, Espace Pierre Cardin, 파리, 프랑스
1988 허달재 초대전, Gallery New York, 뉴욕, 미국
1985 허달재 초대전, RHOC Gallery, 뉴욕, 미국
1980 허달재 개인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1978 허달재 개인전, 전일미술관, 광주
주요 단체전
2023 몰입미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22 공진화:존재로의 회귀, 표갤러리, 서울
2022 꽃과 새가 어울린 자리, 의재미술관, 광주
2021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다,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2021 Abu Dhabi Art, 이화익갤러리,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0 한: 숨 프로젝트, 라흰갤러리, 서울
2020 매화전_허백련 & 허달재, 삼각산금암미술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서울
2019 의재(毅齋), 산이 되다 展,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8 전라도 정도 천년 2018광주비엔날레 기념 천년의 하늘, 천년의 땅展,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6 북경사범대학 경사미술관 초대전, 경사미술관, 북경, 중국
2015 플라워 프로젝트, 허달재 진시영 협업 디자인,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
2012 특별기획전시 배병우, 전수천, 허달재 3인전 변화란?, 의재미술관, 광주
2011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2011, 더 컬럼스 갤러리, 서울
2010 강진 Celadon Art Project 2010, 강진 청자 미술관, 강진
2010 소통展, 갤러리D, 광주
2009 2009 광주 MBC 창사 45주년 특별기획 무등산 청년선언전, 갤러리D, 광주
2009 경계를 넘는 광주 & 이스탄불 현대미술교류展,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09 探梅탐매 그림으로 피어난 매화,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2009 춘설일가展, 의재미술관, 광주
2007 SH contemporary, 박여숙화랑, 상해, 중국
2007 서울 오픈 아트페어, 박여숙화랑, 서울
2007 뉴욕아시아아트페어, 박여숙화랑, 뉴욕, 미국
2006 도자향 서권기전, 박여숙화랑 & 려 갤러리, 서울
2005 제2회 북경 비엔날레, 중화세계단예술관, 북경, 중국
2005 제2회 한중수묵화교류전 현실과 이상전, 의재미술관 & 관산월미술관 공동주최, 광주
2004 제4회 국제수묵화비엔날레, 심천시립관산월미술관, 심천, 중국
2004 다다 5.2전, 의재미술관, 광주
2004 水墨情 한중수묵화 교류전, 심천시립관산월미술관, 심천, 중국
2002 제3회 국제수묵화비엔날레, 심천시립관산월미술관, 심천, 중국
2002 한·중 수묵화전, 심천시립관산월미술관, 심천, 중국
2001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한·중·일 수묵화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9 NICAF 국제현대미술제, 도쿄, 일본
1998 MAC 2000 파리, 프랑스
1997-2000 MANIF 예술의 전당, 서울
주요 소장처
아부다비 왕족 컬렉션,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북경 중국미술관, 북경, 중국
상해미술관, 상해, 중국
대한민국 청와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HUH DAL JAE
1952 Born in Gwangju, Jeollanam-do, Korea
B.F.A. in Fine Arts, Hong-ik University, Oriental Painting Dept., Seoul, Korea
Studying under Late Uijae Huh Baekryun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4 Huh Daljae Exhibition, LEEHWAIK GALLERY, Seoul, Korea
2022 Huh Daljae Exhibition, LEEHWAIK GALLERY, Seoul, Korea
2021 Huh Daljae_One Thing White at Branch Tip,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19 Movement in Tranquility, Tranquility in Movement, PYO Gallery, Seoul, Korea
2014 Huh Daljae Exhibition - Spring, flowers, tea and conversation, J-hee gallery, Gwangju, Korea
2012 Huh Daljae Exhibition, Mugaksa Lotus Gallery, Gwangju, Korea
2012 Huh Daljae Exhibition, Korea Investment Apgujeong PB center, Seoul, Korea
2011 Painting Created by Spirit, Spirit Created by Painting, Lotte Gallery Avenuel, Seoul, Korea
2011 Movement in Tranquility, Tranquility in Movement, Shanghai Art Museum, Shanghai, China
2011 Movement in Tranquility, Tranquility in Movement, Beijing Fine Art Academy, Beijing, China
2010 Huh Daljae Exhibition, T.Art Center, Beijing, China
2010 Moving In The Calmness, PYO Gallery LA, Los Angeles, USA
2008 Huh Daljae Exhibition,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Beijing, China
2008 Huh Daljae Exhibition, Shenzhen Fine Art Institute, Shenzhen, China
2008 Huh Daljae Exhibition,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2007 Huh Daljae Exhibition, Park Ryu Sook Gallery, Jeju, Korea
2004 Huh Daljae Exhibition, SeoHo Art Museum, Gyeonggi-do, Korea
2003 Huh Daljae Exhibition, Nine Gallery, Gwangju, Korea
2002 Huh Daljae Exhibition, Broom Street Gallery, New York, USA
1996 Huh Daljae Exhibition, Espace Pierre Cardin, Paris, France
1988 Huh Daljae Exhibition, Gallery New York, New York, USA
1985 Huh Daljae Exhibition, RHOC Gallery, New York, USA
1980 Huh Daljae Exhibition, Sejong Center, Seoul, Korea
1978 Huh Daljae Exhibition, Jeonil Art Museum, Gwangju,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3 Aesthetic Immersion, Asia Culture Center(ACC), Gwangju, Korea
2022 COEVOLUTION: return to existence, PYO Gallery, Seoul, Korea
2022 The Place where the flower and bird harmonized, Uijae Museum of Korean Art, Gwangju, Korea
2021 Beneath the Mountain, Along the Water, Jeonnam Museum of Art, Gwangyang, Korea
2021 Abu Dhabi Art, LEEHWAIK GALLERY, Abu Dhabi, UAE
2020 Han: Sum Project, La Heen Gallery, Seoul, Korea
2020 Plum Blossom, Huh Baekryun & Huh Daljae, Samgaksan Geumam Art Museum,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Seoul, Korea
2019 Huh Baekryun, a Spiritual, Artistic Pillar in Korean Art,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18 Millennial Heaven, Millennial Earth,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16 Beijing Normal University Gallery, Beijing, China
2015 Huh Daljae and Jin Siyon Digital Flower Project, Gwangju Design Biennale, Gwangju, Korea
2012 Special exhibition Bae Bienu, Jheon Soocheon, Huh Daljae: What is change?, Uijae Museum of Korean Art, Gwangju, Korea
2011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KIAF 2011), The Columns Gallery, Seoul, Korea
2010 Gangjin Celadon Art Project 2010, Gangjin Celadon Museum, Gangjin, Korea
2010 Communication Cross the Boundaries, Gallery D, Gwangju, Korea
2009 Gwangju MBC Mt. Mudeung The Youth’s Declaration, Gallery D, Gwangju, Korea
2009 Gwangju-Istanbul Contemporary Art joint exhibition,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09 Maehwa Blossom that blossoms As Pictures, Gwangju National Museum, Gwangju, Korea
2009 Chunsulilga(Family of Spring Snow), Uijae Museum of Korean Art, Gwangju, Korea
2007 SH Contemporary, Park Ryu Sook Gallery, Shanghai, China
2007 Seoul Open Art Fair,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2007 ACAF, Park Ryu Sook Gallery, New York, USA
2006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2005 The 2nd Beijing Biennale, Beijing, China
2005 The 2nd Korea-China Partnership Oriental Ink Painting Exhibition ‘The reality and the ideal’, Uijae Museum of Korean Art & Guan Shan yue Art Museum, Gwangju, Korea
2004 Shenzhen Oriental Ink Painting Biennale, Guan Shan yue Art Museum, Shenzhen, China
2004 Dada(A Lot of Tea) 5.2, Uijae Museum of Korean Art, Gwangju, Korea
2004 Sumukjungui(Become a Companion with Ink, kal) Korea-China Partnership Oriental Ink Painting Exhibition, Guan Shan yue Art Museum, Shenzhen, China
2002 Shenzhen Oriental Ink Painting Biennale, Guan Shan yue Art Museum, Shenzhen, China
2002 Korea-China Oriental Ink Painting Exhibition, Guan Shan yue Art Museum, Shenzhen, China
2001 The Scent and Shape of Ink, Contemporary Ink Painting of Korea-China-Japa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1999 NICAF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Tokyo, Japan
1998 MAC 2000 Paris, Paris, France
1997-2000 MANIF,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Selected Collections
Abu Dhabi Royal Collection, Abu Dhabi, UAE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Beijing, China
Shanghai Art Museum, Shanghai, China
The Republic of Korea Cheong Wa Dae, Seoul,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